![]() |
한국소비자원, 40개 시장 소비자 지향성 분석 |
6월 10일,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은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시장의 신뢰성, 가격공정성, 선택가능성, 소비자 불만 및 피해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소비자 지향성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전체 40개 시장의 평균 소비자 지향성 점수는 100점 만점에 65.7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별로는 새벽배송 시장이 71.8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소비자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반면, 결혼서비스 시장은 50.4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소비자 지향성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항목은 신뢰성(35.0%), 가격공정성(33.6%), 소비자 불만 및 피해(17.0%), 선택가능성(14.4%) 순이었습니다. 그러나 가격공정성의 평균 점수는 58.2점으로, 4개 항목 중 가장 낮아 소비자들이 시장 가격에 대해 가장 취약하게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소비자 지향성 항목별 점수는 시장별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가격공정성은 새벽배송 시장이 65.4점으로 가장 높았고, 결혼서비스 시장이 44.7점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신뢰성 역시 새벽배송 시장이 67.4점으로 최고점을 기록했습니다. 선택가능성은 생활화학용품 시장이 68.6점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습니다.
소비자 불만 및 피해가 가장 적었던 시장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98.3점)였으며, 결혼서비스 시장은 모든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소비자 지향성 수준이 낮은 하위 5대 시장은 결혼서비스, 교복, 주택수리·인테리어, 동물병원, 산후조리서비스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4개 시장이 서비스 분야에 속해, 서비스 시장의 소비자 지향성 수준이 전반적으로 취약함을 시사했습니다. 특히 동물병원과 결혼서비스 업종은 가격공정성에 대한 평가가 가장 낮아, 소비자들이 제시된 가격이 적정하지 않다고 느끼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교복 시장 문제점: 교복 시장은 선택가능성이 46.3점으로 낮았으며, 소비자의 8.2%만이 판매자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는 학교 지정 판매 방식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소비자들이 예상한 평균 교복 가격(182,457원)보다 실제 지불 금액(248,814원)이 36.4% 더 높아 가격 불만이 높았습니다. 소비자 63.1%는 최근 1년 사이 교복 가격이 상승했다고 느꼈으며, 44.6%는 그 원인으로 독과점을 지적했습니다.
결혼서비스 시장 문제점: 결혼서비스 시장은 가격공정성(44.7점)이 최하위였습니다. 소비자 78.1%가 현금 결제를 유도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85.4%는 가격 정보 탐색의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계약 단계에서는 83.2%가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을 경험했고, 서비스 이용 중 78.1%가 현금 결제 유도를 받았습니다. 소비자 71.2%는 가격 표시가 불충분하다고 느꼈고, 67.5%는 사업자의 가격 정보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누리집에 공개하고, 유관 부처에 제도 개선 참고자료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특히 소비자 지향성 최하위를 기록한 결혼서비스 시장에 대해서는 심층 연구를 통해 정책 개선 방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윤수현 원장은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추진과 소비자 평가를 반영한 시장 조사 데이터 활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시장의 신뢰성 강화와 가격공정성 확보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